이번 포스트는 운동량 보존의 법칙을 활용한 로켓방정식을 유도해 보겠습니다. 사실 단순조화진동자를 포스팅하려고 했는데, 아무래도 당구공의 운동량보존법칙만으로는 다소 모자란 감이 있어보여서 로켓 방정식을 유도해 보려고 합니다. 로켓 방정식은 러시아의 과학자 콘스탄틴 치올콥스키가 고안해낸 방정식인데요 치올콥스키는 인류우주비행의 아버지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지요. 그래서 로켓방정식을 치올콥스키의 식이라고 부르기도 한답니다. 실제 치올콥스키의 이론들은 구소련보다는 독일의 과학자들에 의해 실제 계산값이 나오면서 로켓의 발달을 촉발시키게 되고, 세계대전 중 독일의 V1, V2 로켓 발전의 원흉(?)이 된것은 역사의 아이러니 입니다. 로켓방정식은 무중력상태에서의 로켓의 추진체연소와 로켓의 속도에 대한 관계를 나타낸 방정..
이번 포스트는 지난 뉴턴의 운동법칙중 제2법칙인 힘의 법칙에서 나온 운동량 보존입니다. 2018/01/15 - [자연과학] - 뉴턴의 법칙(Newton's Laws) 흔히 위의 탄성체 충돌 실험이나 당구공 실험으로 많이 설명되는 운동량 보존의 법칙입니다. 산수를 시작해보죠~^^ 일단은 뉴턴의 제2법칙부터 소환합니다. 지난포스팅에서 아래와 같이 썼죠. 여기서 P가 운동량이라는 물리량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결국 힘이란것은 운동량을 변화시키는 원천이되고, 어떤 운동에 있어서 중간에 힘이 작용하지 않으면 운동 전후의 운동량은 정확히 보존된다는 결론이 가능해지고 이것을 운동량 보존의 법칙이라고 합니다. 위의 식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과 해석이 가능한데요. 운동량 보존은 F=0 일때의 운동형태인데요 수학적으로 표현하면..
- Total
- Today
- Yesterday
- 당구공충돌
- 수체계
- 수소폭탄
- 블록체인
- 치올콥스키
- 숫자 체계
- 핵폭탄
- 빈학파
- 함수
- 단순조화진동자
- 좌표
- 진동자
- 블럭체인
- 수학
- 유리함수
- 핵분열
- 놀리실증주의
- 로켓방정식
- demension
- 조화진동자
- 무리함수
- 뉴턴
- 가상화폐
- 핵융합
- 물리
- 기초수학
- 고등수학
- 비트코인
- 비엔나서클
- 운동량보존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